2003. 6. 5. 03:28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압축유틸리티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틸리티입니다. 압축을 하고나면 compress는 파일의 끝에 .Z를 붙여주지만 gzip은 .gz를 붙여줍니다.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압축할 때 : gzip 압축할파일명
압축풀 때 : gzip -d 압축된 파일명
또는
gunzip 압축된 파일명
[sspark@nice dat]$ ls -l
total 40
-rw-rw-r-- 1 sspark sspark 40960 Jan 27 11:00 myhome.tar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gzip myhome.tar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ls -l
total 8
-rw-rw-r-- 1 sspark sspark 4223 Jan 27 11:00 myhome.tar.gz
gzip으로 압축을 할 때에는 거의 대부분 tar로 묶여진 파일을 다시 압축을 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위의 예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myhome.tar라는 tar로 묶여진 파일을 gzip으로 압축을 하게되었을 때의 용량을 비교해 보십시오.
거의 10배의 압축효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놀라운 압축효율 때문에 compress보다는 gzip을 많이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또한 압축이 끝난후에는 파일의 끝에 .gz라는 것을 붙여주게되며 gzip으로 압축된 것임을 표시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압축된 파일을 다시 압축해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spark@nice dat]$ gzip -d myhome.tar.gz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ls -l
total 40
-rw-rw-r-- 1 sspark sspark 40960 Jan 27 11:00 myhome.tar
이 예에서 보시는 바와같이 gzip으로 압축된 파일(*.gz)은 "gzip -d"을 사용하여 풀어주시든지 아니면 옵션없이 gunzip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압축할 때 : gzip 압축할파일명
압축풀 때 : gzip -d 압축된 파일명
또는
gunzip 압축된 파일명
[sspark@nice dat]$ ls -l
total 40
-rw-rw-r-- 1 sspark sspark 40960 Jan 27 11:00 myhome.tar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gzip myhome.tar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ls -l
total 8
-rw-rw-r-- 1 sspark sspark 4223 Jan 27 11:00 myhome.tar.gz
gzip으로 압축을 할 때에는 거의 대부분 tar로 묶여진 파일을 다시 압축을 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위의 예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myhome.tar라는 tar로 묶여진 파일을 gzip으로 압축을 하게되었을 때의 용량을 비교해 보십시오.
거의 10배의 압축효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놀라운 압축효율 때문에 compress보다는 gzip을 많이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또한 압축이 끝난후에는 파일의 끝에 .gz라는 것을 붙여주게되며 gzip으로 압축된 것임을 표시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압축된 파일을 다시 압축해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spark@nice dat]$ gzip -d myhome.tar.gz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ls -l
total 40
-rw-rw-r-- 1 sspark sspark 40960 Jan 27 11:00 myhome.tar
이 예에서 보시는 바와같이 gzip으로 압축된 파일(*.gz)은 "gzip -d"을 사용하여 풀어주시든지 아니면 옵션없이 gunzip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2003. 6. 5. 03:26
tar는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을 수 있으며 묶여진 파일을 다시 풀수 있는 유틸리티입니다.
또한 묶여진 파일을 풀기전에 어떤파일들이 묶여져 있나를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먼저 tar파일의 사용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형식 : # tar [옵션] 대상파일
tar를 사용할때에는 여러 가지 옵션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tar의 옵션에는 약 40여개의 옵션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모든 옵션을 모두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중요하고 자주 사용하는 몇 개의 옵션만을 알아두면 됩니다.
그리고 필요한 옵션은 그때그때 메뉴얼(man tar)을 사용하여 참조한 후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c : tar파일을 생성할때(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을 때) 반드시 사용
d : tar파일과 해당 파일시스템간의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
r : tar파일에 다른파일들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
t : tar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때 반드시 사용
f : tar파일을 사용할때에는 반드시 사용
p : tar파일을 생성할때(묶을 때) 당시의 파일퍼미션을 그대로 하여 풀어줄 때 사용
v : 묶을때나 풀어줄 때 파일들의 내용을 자세하게 보려고 할 때 사용
Z : compress로 압축파일을 사용할 때 압축이나 해제까지 한번에 할 때 사용
z : gzip과 관련하여 압축이나 해제를 한꺼번에 하려고 할 때 사용
tar로 파일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세경우가 있습니다.
즉, 첫 번째가 여러개의 파일 및 디렉토리들을 하나의 tar파일로 묶는 경우이며, 두 번째가 이렇게 묶은 tar파일을 다시 풀어준 경우이며, 세 번째의 경우가 묶여져 있는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즉,
묶을 때 : # tar cvf 압축파일.tar 압축대상파일 및 디렉토리
확인할 때 : # tar tvf 압축파일.tar
풀 때 : # tar xvf 압축파일.tar
각각의 경우에 대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sspark@nice dat]$ ls -l
total 44
-rw-r--r-- 1 sspark sspark 5847 Jan 27 10:37 browser.html
-rw-r--r-- 1 sspark sspark 5879 Jan 27 10:37 host.html
-rw-r--r-- 1 sspark sspark 8295 Jan 27 10:37 hour.html
-rw-r--r-- 1 sspark root 858 Dec 7 04:02 log.range
-rw-r--r-- 1 sspark sspark 10733 Jan 27 10:37 page.html
[sspark@nice dat]$ tar cvf myhome.tar *
browser.html
host.html
hour.html
log.range
page.html
위의 예는 현재 디렉토리내에 있는 모든파일 및 디렉토리들을 myhome.tar라는 파일하나로 묶어라는 것입니다.
원본파일들은 그대로 존재하게되며 myhome.tar라는 파일이 새로 생성되어 그 파일내에 모든파일 및 디렉토리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c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합니다.
[sspark@nice dat]$ tar tvf myhome.tar
-rw-r--r-- sspark/sspark 5847 2000-01-27 10:37 browser.html
-rw-r--r-- sspark/sspark 5879 2000-01-27 10:37 host.html
-rw-r--r-- sspark/sspark 8295 2000-01-27 10:37 hour.html
-rw-r--r-- sspark/root 858 1999-12-07 04:02 log.range
-rw-r--r-- sspark/sspark 10733 2000-01-27 10:37 page.html
이 예는 myhome.tar라는 tar파일에 어떤파일들이 묶여져 있나를 확인해 본 것입니다.
t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 합니다.
[sspark@nice dat]$ ls -l
total 40
-rw-rw-r-- 1 sspark sspark 40960 Jan 27 10:38 myhome.tar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tar xvf myhome.tar
browser.html
host.html
hour.html
log.range
page.html
마지막예로서 myhome.tar에 묶여져 있는 파일들을 현재 디렉토리에 풀어준 것입니다.
x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합니다.
또한 묶여진 파일을 풀기전에 어떤파일들이 묶여져 있나를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먼저 tar파일의 사용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형식 : # tar [옵션] 대상파일
tar를 사용할때에는 여러 가지 옵션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tar의 옵션에는 약 40여개의 옵션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모든 옵션을 모두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중요하고 자주 사용하는 몇 개의 옵션만을 알아두면 됩니다.
그리고 필요한 옵션은 그때그때 메뉴얼(man tar)을 사용하여 참조한 후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c : tar파일을 생성할때(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을 때) 반드시 사용
d : tar파일과 해당 파일시스템간의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
r : tar파일에 다른파일들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
t : tar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때 반드시 사용
f : tar파일을 사용할때에는 반드시 사용
p : tar파일을 생성할때(묶을 때) 당시의 파일퍼미션을 그대로 하여 풀어줄 때 사용
v : 묶을때나 풀어줄 때 파일들의 내용을 자세하게 보려고 할 때 사용
Z : compress로 압축파일을 사용할 때 압축이나 해제까지 한번에 할 때 사용
z : gzip과 관련하여 압축이나 해제를 한꺼번에 하려고 할 때 사용
tar로 파일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세경우가 있습니다.
즉, 첫 번째가 여러개의 파일 및 디렉토리들을 하나의 tar파일로 묶는 경우이며, 두 번째가 이렇게 묶은 tar파일을 다시 풀어준 경우이며, 세 번째의 경우가 묶여져 있는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즉,
묶을 때 : # tar cvf 압축파일.tar 압축대상파일 및 디렉토리
확인할 때 : # tar tvf 압축파일.tar
풀 때 : # tar xvf 압축파일.tar
각각의 경우에 대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sspark@nice dat]$ ls -l
total 44
-rw-r--r-- 1 sspark sspark 5847 Jan 27 10:37 browser.html
-rw-r--r-- 1 sspark sspark 5879 Jan 27 10:37 host.html
-rw-r--r-- 1 sspark sspark 8295 Jan 27 10:37 hour.html
-rw-r--r-- 1 sspark root 858 Dec 7 04:02 log.range
-rw-r--r-- 1 sspark sspark 10733 Jan 27 10:37 page.html
[sspark@nice dat]$ tar cvf myhome.tar *
browser.html
host.html
hour.html
log.range
page.html
위의 예는 현재 디렉토리내에 있는 모든파일 및 디렉토리들을 myhome.tar라는 파일하나로 묶어라는 것입니다.
원본파일들은 그대로 존재하게되며 myhome.tar라는 파일이 새로 생성되어 그 파일내에 모든파일 및 디렉토리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c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합니다.
[sspark@nice dat]$ tar tvf myhome.tar
-rw-r--r-- sspark/sspark 5847 2000-01-27 10:37 browser.html
-rw-r--r-- sspark/sspark 5879 2000-01-27 10:37 host.html
-rw-r--r-- sspark/sspark 8295 2000-01-27 10:37 hour.html
-rw-r--r-- sspark/root 858 1999-12-07 04:02 log.range
-rw-r--r-- sspark/sspark 10733 2000-01-27 10:37 page.html
이 예는 myhome.tar라는 tar파일에 어떤파일들이 묶여져 있나를 확인해 본 것입니다.
t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 합니다.
[sspark@nice dat]$ ls -l
total 40
-rw-rw-r-- 1 sspark sspark 40960 Jan 27 10:38 myhome.tar
[sspark@nice dat]$
[sspark@nice dat]$ tar xvf myhome.tar
browser.html
host.html
hour.html
log.range
page.html
마지막예로서 myhome.tar에 묶여져 있는 파일들을 현재 디렉토리에 풀어준 것입니다.
x옵션을 반드시 사용하셔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