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ac OS X Snowleopard 에서는 한글이 기본으로 지원된다.
참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이상하게도 Mac OS X Snowleopard Server 에서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다.
왜 그렇게 했는지는 잘 이해가 안간다.

하지만 나는 한글 패키지를 Mac OS X Snowleopard 번들 CD에서 추출해서
설치를 했다.  추출만 하면 설치 자체는 쉬웠다.
한글도 잘 나타났고 대충 기능도 잘 동작했다.

그러다 최근에 이상한 문제를 접하게 되었고 이 부분이 한글 언어로 설치로 인해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우선 시작하기 전에 혹시라도 이글을 보시고 따라 하실분들은 위험부담은 스스로가 감수하셔야 합니다. 강제로 시스템의 일부 사항을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문제 증상
  - Finder 환경설정이 한번에 열리지 않고 두번 클릭해야 열리는 경우가 많음.
  - 설정 내용이 다 나오지 않고 일부 잘려서 나오는 경우가 자주 발생.
  - Sidebar 설정을 들어가면 list가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고 바꿔도 반영이 되지 않음.

이것이 무슨 조화일까~

자 우리의 만능도구 Terminal~!! 이런 류의 문제를 확인하고 작업하는 데는 이만한 게 없다.
물론 Root 계정은 이미 활성화 된 상태고 Root로 모든 것을 진행하였다.

* 수정과정
  1. Mac OS X Snowleopard에서 Finder 실행파일만 추출해서 복사
    혹시나 바이너리가 다른건가 했지만, 역시나, 문제는 동일하게 발생. 결국 바이너리 자체는 동일하다.
  2. 그렇다면 가능한 이야기는 설정 파일이다.
    다음 경로의 두 파일을 삭제한후 강제 재실행 (또는 로그오프하고 다시 로그온 하면 된다.)
    문제가 Sidebar 쪽과 관련인듯 아래 두 파일을 삭제( 걱정 안해도 된다. 다시 생긴다..)

    rm ~/Library/Preferences/com.apple.finder.plist
   
rm ~/Library/Preferences/com.apple.sidebarlists.plist


    그러나 이것도 아니었다. 설정만 전부 Default로 바뀌었을뿐 문제 현상이 똑같이 나왔다.

  3. 혹시나 하는 심정에 해본 것이 언어 설정을 다시 영문으로 바꿔본 것이었다.
     역시 한글과 관련된 것이었다. 영문으로 바꾸고 하니 모든 것이 정상적이었다.
     그러나 나는 여기서 만족할 수 없었다. 한글을 보고 싶었다...ㅠ.ㅠ

  4. 언어로 인한 것이라면 현재 설치된 Finder에서 참조하는 한글 설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었다.
     그래서 이번에 한 것은 바로 이것이다.

      Finder의 언어 설정파일을 Mac OS X  Snowleopard 한글 설치본의 것을 가져와 엎어쓰기.
     

      Finder는 System Application이기 때문에 아래 경로에 존재한다.
      /System/Library/CoreServices/Finder.app/

      자 이제 한글 설정 부분을 찾아 엎는 것이다.
      한글 설정 파일은 아래 경로에 있다. 그것을 한글판의 그것으로 바꾸는 것이다.

      /System/Library/CoreServices/Finder.app/Contents/Resources/ko.lproj

      두둥 ~~ 짠~~ 한글에서도 잘 나온다~~
      이 파일은 Resource파일이기 때문에 Finder를 재시작할 필요가 없다.

  5. 그런데 이중 뭐가 문제가 되는지 호기심이 발동했다.
     늦은 밤이지만, 도저히 참을수가 없었기에~~
     몇가지를 확인하던 차에 의심스러운 녀석을 발견!

     /System/Library/CoreServices/Finder.app/Contents/Resources/ko.lproj/PreferencesWindow.nib

     결론적으로 한글 관련 설정 파일중 저 파일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저 파일만 한글 버젼에서 가져와 덮어써도 잘 된다~~
  

* 음 뭔가 Mac OSX 의 문제처럼 보이지만, 원래가 Mac OSX Server에는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거였어서 딱히 버그라고 하긴 좀 애매하다. 어쨌든 ~ 한글 설치 한글 만쉐이~



반응형
반응형
얼마전에 겪은 일이다.
Mac 에 OS X(snowleopard 을 설치하고 받은 동영상 파일을 파일시스템이 NTFS 인 하드디스크 를 RW로 마운트하여 카피해놓은 다음 문제가 있어 새로이 snowleopard 를 설치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잘열리던 NTFS맥에 카피해놨던 동영상이 열리지 않는 것이었다.
분명 윈도우즈에서도 잘열리는데 파일이 비활성화된것으로 연한 회색으로 보이고
더블 클릭시 열리지 않는 것이었다.

신기하게도 드래그 앤 드롭은 잘 동작한다.

그래서 혹시 NTFS 때문인가 싶어서 Mac 하드 디스크에 복사해 보았지만 증상은 같았다.
다른 똑같은 형식의 동영상 파일은 정상인데 이상하게 이 파일을 포함하여 몇몇 파일만 이런 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다행인것은 내가 Terminal에 익숙하고, Unix를 잘 알지는 못해도, Unix 환경에서 공부해봤고, linux을 한동안 접해왔다는 것이다. 곧바로 수사에 들어갔다.

파일 자체의 내용에는 이상이 없었다. 다만 파일 시스템에서 인식하기를 다른 파일과 다른 그 무엇이 있는 듯 했다.

그러던중 ls -l 을 통해 확인시 뭔가 이상하다는 것을 느꼈다.
마치 다른 Finder 시스템파일에서처럼 끝자락에 아래와 같이 @가 붙어있는 것이다. 다른 잘 열리는 파일에는 이런게 없었다.

-rwxrwxrwx@


 이것은 Extended attribute인데, 왜 이 파일에....?

다음과 같이 명령을 주면 이 Extended attribute도 볼 수 있다.
ls -l@

이렇게 해서 확인해 보니 아니나 다를까 아래와 같이 attribute가 쓰여 있었다.
com.apple.FinderInfo


이건 분명히 Finder 내부적으로 쓰는 파일에만 해당될 거 같은데.

xattr이란 명령어를 통해 이 attribute를 삭제하자 이제 정상동작 한다. 더블클릭으로 잘 열린다~~

xattr -d [attribute] [파일명]


모르는 게 죄인지라~, 이것때문에 1시간이상을 날렸다..ㅠ.ㅠ
반응형
반응형
사용한 H/W
  - M/B : Gigabyte EP45-UD3R
 
 
* CMOS 설정하기
 
*설치시 참고
 
*설치후 AHCI 설정없이 Windows/Mac 부팅하는 방법
http://x86osx.com/bbs/view.php?id=osxtips&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EP45-UD3R&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561


3일간 밤에만 시간투자한것 치고는 비교적 쉽게 설치한 것 같습니다. 설치보다도 날이 더워서 더 힘들었어요~
모든게 이곳의 정보와, 국민보드라 불리는 Gigabyte EP45-UD3R 덕분인거 같습니다.

설치에 사용한 것은 Snowleopard Retail CD입니다. 그리고 부트로더로서 Kakewalk입니다.
추가로 5770 드라이버를 별도 설치했습니다.

제 하드웨어 사양은 이렇습니다.
- CPU : Intel Core2Duo E8400 @ 3.0GHz
- Memory : DDR2 4GB RAM
- VGA : Gigabyte ATI Radeon HD 5770 GDDR 1G Batman edition
- M/B : Gigabyte EP45-UD3R
- Audio : M/B 내장
- Network Card : M/B 내장

부트로더 및 초반 부팅 시 초반에 좀 삽질을 했었습니다. 그 모든게 그래픽카드 때문이었죠. 그것때문에 커널 패닉을 몇번이나 봤는지~~
여기에 자료는 많은데 산재한 자료때문에 하나로 모아서 합치기가 어렵더군요. 그러다가 그냥 쉽게 가려고 kakewalk를 받아서 진행했습니다.
잘 만들어놨더라구요. EP45-UD3R에 맞게 아예 설정도 가능하구요. 단 그래픽은 예외더군요.
어쨋든 최종적으로 10.6.4 최신 업데이트까지 모두 적용하고 그래픽 사운드 모두 잘 동작합니다. 근데 왠지 윈도우즈때보단 그래픽 카드 팬 소리가 좀 큰 듯 하군요.

다음 설치한 과정입니다.

* 설치전 준비사항
  Snowleopard Retail CD
  Kakewalk booting CD
    http://puru.se/ 에서 다운로드 하여 구우시면 됩니다.

1. CMOS 설정 변경
   미친맥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http://www.insanelymac.com/forum/index.php?showtopic=181903

  [ Advanced BIOS features ]
-CPU Enhanced Halt (C1E)
-C2/C2E State Support
-CPU EIST Function
-C4/C4E State Support
-Virtualization Technology
   => 위의 항목들을 모두 Disable로 변경합니다.

  [ Integrated Peripherals ]
-SATA RAID/AHCI Mode
-Onboard SATA/IDE Ctrl Mode
  => AHCI mode로 모두 변경

원래 다른 것들도 많지만, 기본 값과 동일해서 생략했습니다.
사실 이 CMOS설정이 은근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제대로 안하시면 부팅 또는 설치시 패닉을 보시게 될 거 같아요.

2. Kakewalk CD로 부팅후 Snowleopard Retail CD로 설치시작하기
  미리 준비된 Kakewalk CD를 넣고 부팅하면 됩니다. 자체적으로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별달리 할게 없더군요.
  부팅된 다음 Kakewalk CD를 빼고 Snowleopard Retail CD를 넣고 선택한 다음 부팅시킵니다.

3. Snowleopard 설치하기
  준비된 하드디스크를 선택하고 파티션을 설정한 다음(GUID로 설정했습니다.)
  설치시작전 사용자화에서 프린터와 언어부분을 체크해제합니다.그래야 마지막에 실패가 안뜹니다.
  그다음 시작하면 약 20-30분 가량에 걸쳐 설치가 진행됩니다. 최종 완료 후 리붓하게 되는데
  이때 다시 Kakewalk CD를 넣어 부팅을 도와줍니다.
  Kakewalk로 부팅하면 이제 snowleopard가 설치된 하드가 보이고 그걸 선택한다음 부팅을 진행합니다.

4. Snowleopard로 부팅 설정하기
  Kakewalk 사이트에 가보신 분은 아시다시피 부트로더 설치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보드에 맞춰서요
  부팅후 데스크탑에 있는 Kakewalk CD를 열면 부트로더를 설치하는 패키지 파일이 있습니다. 그걸 실행해서 EP45-UD3R을 선택하고 진행합니다.
  그다음 Kakewalk CD를 제거하고 리붓을 시킵니다.
  그러면 이제 부팅이 완료되었습니다.

5. 그래픽 카드 설정하기
  가장 난관이었습니다. Kakewalk bootloader에는 EP45-UD3R 및 기타 지원하는 보드 관련만 있지 그래픽카드 같이 추가 설치하는 부분에 대한 것은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래픽카드관련 드라이버를 설치하더라도 부팅중에 패닉이 뜨거나 오류로 진행이 안되었습니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이미 많이 공개가 된것으로 nekas에 올라온 드라이버를 이용했습니다.
저는 검색하다가 여기서 받았습니다. http://3rr0rists.com/driver/ati-hd-5770-and-hd-5870-snow-leopard-driver.html
구글에서  snowleopard 5770으로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ㅎㅎ 여기 포럼에도 많이 있습니다.
이 드라이버를 받고 설치한 다음 그다음 추가적으로 해야 할 것이 Kakewalk로 설치된 부트로더에서 boot 를 5770을 지원하는 boot로 교체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부팅이 되더군요.
boot는 http://www.insanelymac.com/forum/index.php?showtopic=205802&st=100&start=100 여기에 원본이 있다고 합니다.
저는 여기 글중 그래픽 카드 설치에 결정적으로 도움이 되었던 푸구머님의 글에서 받았습니다. http://x86osx.com/bbs/view.php?id=after&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5770&select_arrange=reg_update&desc=desc&no=4071

  5770 driver를 kext utility를 가지고 설치하고 그다음 boot 파일을 교체한다음. 리붓을 하면 됩니다.
  boot 파일은 / 에 있으니 sudo rm -f boot 하시고 복사해 넣으시면 됩니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더 편합니다~~
  만약을 위해 교체한 부트 속성을 조정해줍니다. chmod +x boot 라고 칩니다.

  그 다음 리붓을 합니다. 그러면 완료!!
  참고로 com.apple.Boot.plist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Kakewalk bootloader 설치시 설정되어 있습니다.
  혹시 라도 수정하신 분은 부팅시 -s를 줘서 싱글 유저 모드로 접속한다음 수정해주면 됩니다.

6. 업데이트 설치.
  이미 사운드는 잡힌 상태였습니다.
  10.6.4를 비롯해 최신 업데이트까지 모두 해줍니다.

7. 완료!!! 짜잔~
반응형
반응형
사실 이미 잘 쓰고 있던 FTP  프로그램이 있었다. Yummy FTP 라고 ~
뭐 딱히 선호했다기 보다는 중고 맥북 시절 깔려있었던 거라 새로 맥북 사고난후에도 계속 썼던 프로그램이었다.

그런데 얼마전 Yummy FTP의 중대한 버그가 발견되었다.
로그를 한글로 보여주는 FTP 서버에 접속하면 Remote Root directory가 꼬여서 explore가 전혀 안된다.
Yummy FTP 만든 데다가 메일 써서 이거 문제다 라고 메일 보냈더니
"그래 고맙다, 문제 현상을 캡쳐하고 Transcript를 보내달라" 해서 보내줬더니만 감감무소식이다..
한 2주가 되어 가지만 아무런 소식은 없고 나는 FTP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그래서 검색의 생활화를 통해서 사용하게 된 것이 Transmit이다.

[ Transmit ]
제품 홈페이지 : http://www.panic.com/transmit/
가격 : 34$
아이콘이 트럭 모양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게 있어서 Yummy FTP 보다 낫다. 특히 Yummy에 비해 좀더 맥스러운 인터페이스를 가졌다.
(맥스럽다는게 참 애매모호하지만 대충 넘어간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한글로 로그를 보여주는 FTP 사이트에서도 잘 동작한다는 점이다. 참 맘에 든다.

처음 실행한 화면이다. 깔끔해보인다.
왼쪽 상단의 별이 새겨진 폴더 아이콘을 클릭하면 Local directory를 설정할 수 있다.
오른쪽은 Remote 쪽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한눈에 들어오고 버튼식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사용하는데 참 쉽게 되어 있다.

사실 사용자체가 명확하게 되어 있어서 아래 보이는 것들을 한번씩 클릭해보면 어떤 기능들이 있는지 다 확인이 가능하다.
깔끔한 UI 덕분에 사용하기 편해서 참 좋은 프로그램이다. Yummy 보다 훨 낫다!!!




반응형
반응형
저는 맥북에서 주로 Safari 대신에 불여우(FireFox)를 애용합니다.
개인적인 취향이니 그냥 그러려니 해주세요~~

탭을 여러개 띄웠을때 마우스로 왔다갔다 하거나 아니면 Control + Tab 으로 이동을 했었는데요
더 편한 방법이 있더군요.

Alt + Command + 방향키 하니 좌우 탭이동이 훨씬 간편합니다. 정말 편해요!!!
반응형
반응형
맥을 접하면서 겪게되는 일이 윈도우즈에서 하던 것들을 맥에선 어떻게 할까였다.

그중 하나가 바로 화면 캡쳐이다. 윈도우즈에서 키보드의 키 하나로 화면을 캡쳐했었는데
웬걸....... 맥 키보드엔 없다....

그래서 우여곡절 끝에 찾았다.

cmd + shift +3, cmd + shift + 4

3을 같이 누르면 전체화면 캡쳐이고 4를 같이 누르면 잘라서 캡쳐가 가능하다.
오오!! 윈도우즈보다 더 좋다!!! 사실 잘라서 캡쳐하려고 하면 윈도우즈에선 캡쳐한다음 그림판에서 열어서
잘라내고 했는데 맥에선 아예 기본으로 제공하니...(윈도우즈에서 이것땜에 프로그램 따로 구하기까지했다.)

캡쳐된 파일은 데스크탑(윈도우즈에서 바탕화면)에 저장된다.
맥에서 참 편리한 기능이다.
반응형
반응형
        Mac Journal 입니다.
원래는 일기를 써볼까 여러가지를 끄적여 볼까 하는 용도로 구했는데 블로그 글 포스팅도 가능하다니.. 나름 유용할것도 같다.

올려보니 잘 올라가기는 한데. 태그 설정은 전혀 안된다는...

세팅은 http://twiny.tistory.com/97 여기서 참고했다.

태그 세팅이 안된다는게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웹하고 연동되는 부분은 꽤 인상적이다.




반응형
반응형
iPod Touch에서 그래도 나름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어플입니다.

탁상위에 시계 용도로도 아주 이쁘다는~..

미국  iTunes AppStore에서 무료로 구입 가능합니다.
(트랙백을 참조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맥쓰사에서 퍼왔습니다.

사실 퀵실버 퀵실버 이야기는 많이 들었는데, 사실 사용할 줄을 몰라 제대로 사용못하고 있었습니다.

아래 동영상이 좋은 가이드가 되는 것 같습니다. KUG 에서 만든 동영상이더군요.



반응형
반응형
맥라이프를 시작하면서 바뀐 것이 이전 노트북을 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아이팟에 노래를 동기화 하기 위해 윈도우즈 노트북에 있는 아이튠즈 노래를 전부 맥으로 옮겼다.

방법은 의외로 간단했다. 다만 시간이 좀 걸릴뿐...
아래 그림은 맥에서의 화면이지만 윈도우에서도 메뉴는 같다.

1. 공 DVD 용량에 맞춰 몇장 준비한다.
2.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일-> 보관함-> 디스크로 백업을 눌러 백업한다.
3. 그리고 백업한 시디를 넣으면 자동으로 복원할것인가를 묻는다. 여기서 확인을 누르면 복원 시작!!!
   너무너무 간단하다.. 다만 시간이 걸릴뿐.....

아쉬운 것은 사진은 따로 옮겨지지 않는 듯 하다..(아마도 보관함 목록에 사진이 없어서인가보다.)


반응형

+ Recent posts